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합니다.

결핵 및 비결핵항산균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와 관리를 위한 정책 개발

국내결핵환자 현황

  • 국내 결핵 환자 발생률은 39명/10만명으로 OECD 국가 중 2위, 사망률은 3.8명/10만명으로 4위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아직까지 결핵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라고 할 수 없음(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3.11.).
  • 65세 이상 결핵 환자가 전체 환자의 57.9%를 차지하고 있으며(질병관리청, 결핵제로 홈페이지, 2023), 홈리스 등 주거취약계층의 결핵 치료 중단율은 기타 집단에 비해 약 2.5배 높음(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2013).
  • 국가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 결과에 따르면 집단시설 종사자의 잠복결핵감염 양성률은 18.7%, 가족 접촉자의 잠복결핵감염 양성률은 27.1%로 나타났습니다(질병관리청 정책연구용역사업, 국가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 및 고위험군 대상관리 중장기 효과분석, 김주상, 2020).
  •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결핵 환자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질병관리청, 주간 건강과 질병•제12권 제17호).

국내 비결핵항산균 환자 현황

  • 비결핵항산균 질환의 경우 결핵과 달리 의무 신고 대상의 전염성 질환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식적인 집계는 발표되고 있지 않으나,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한 최근 연구(Kim JY, et al. Open Forum Infect Dis. 2022 Dec 1;9(12))에 따르면 국제질병분류(ICD-10) 진단코드 A31로 비결핵항산균 질환의 조유병률(crude prevalence)을 확인한 결과 2010년 인구 10만명당 11명에서 2021년 57명으로 약 5배 증가. 이는 국내 뿐만아니라 전세계적인 추세로 호흡기질환 환자에서 객담 검체의 비결핵항산균 분리율 및 임상적 증상이 있는 비결핵항산균 감염 환자는 시간이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앞으로의 미션

  • 결핵 환자의 발견/진단/치료/관리/예방과 관련된 연구과제를 발굴하여 수행하고 이를 국가결핵관리지침에 반영하는 등 정책제언을 위한 근거자료를 수립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며 또한 비결핵항산균 감염의 감시체계 구축과 환자 관리정책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진단/치료/관리/예방 등을 위한 과제를 꾸준히 발굴할 예정 임.
  • 앞으로 도전해야 될 과제로는 외국인 결핵 환자와 잠복결핵 환자에 대한 감시 및 치료, 노인 결핵 환자의 치료 및 관리, 취약계층과 약제내성 환자 관리, 그리고 비결핵항산균 환자의 지속적 증가에 대한 정책 마련 등 임.

End TB Strategy 달성을 위한 정책 비전

End TB Strategy 달성을 위한 정책 비전
확대보기

연구과제 수행 현황

  • 2015-2018

    주거취약계층 결핵 환자에서 이웃돌봄 서비스 통한 보건의료/복지 통합형 서비스 제공모형 개발

  • 2019~2021

    지역사회 기반 결핵환자 맞춤형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발

  • 2019~2022

    결핵 정책과 치료현황 분석을 통한 건강불평등 완화 근거 창출

  • 2022~현재

    몽골 올란바타르시 결핵접촉자 검진사업, 캄보디아 이동검진차량이용 active case finding 사업 참여